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

찬송가 2장의 역사와 의미 찬송가 2장의 기원 이 찬송가는 1648년 영국에서 처음 발행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포함된 찬송가 중 하나입니다. 당시 영국 국교회와 장로교가 정립되는 시기에 작성된 이 찬송가는 성삼위일체를 찬양하는 내용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찬양 성부 성자 성령, 영원한 세 위격이여"라는 구절은 성삼위일체 교리를 명확히 표현하고 있죠. 이 찬송가는 오랜 세월 동안 전 세계 교회에서 널리 불리며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을 담고 있습니다.     찬양 성부 성자 성령 성 삼귀일체께 영원 무궁하기까지 영광을 돌리세영광을 돌리세 아멘 2024. 10. 28.
1일차 성경요약 창조와 임명 (창세기 1:1): 하나님은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인간을 그 모든 것의 주관자로 세우셨습니다. 에덴 동산은 하나님 나라의 초기 모습으로,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의 뜻대로 다스리도록 하셨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선악과를 두어 그들이 하나님을 경외하고 창조주 되심을 기억하게 하셨습니다.타락과 하나님 나라 상실 (창세기 3장): 아담과 하와가 사탄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하나님과의 관계가 끊어졌고, 하나님 나라도 상실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죄와 죽음이 세상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구원의 약속 (창세기 3:15): 하나님은 타락 이후에도 인간을 포기하지 않으시고, 여자의 후손이 사탄의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라는 구원의 약속을 주셨습니다. 이 약속은 하나님 나라의 회복을 위한 하나.. 2024. 8. 25.
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 이 찬송의 작사자는 영국 성공회 주교였던 토마스 켄 (Thomas Ken) 으로 그는 윈체스터 대학의 교목으로 있으면서 학생들을 위한 기도문을 지었다. 종교개혁자였던 칼뱅이 그러했듯 종교개혁시기에는 시편 외에 다른 찬송이 전례에 불려지는 것이 엄격히 제한되었고 때론 불경하다고 여겨졌다. 심지어 칼뱅을 비롯한 종교개혁주의자들은 개혁의 중심지인 스위스 쥬네브(제네바)에 모여 모든 시편을 적절한 음률을 가진 찬송으로 바꾸어 시편가를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토마스 켄은 학생들의 아침기도, 저녁기도 등의 신앙생활을 돕기 위해 찬송을 썼으나 시편이 아닌 글이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기가 지은 찬송가를 엄격하게 개인적인 공간에서 사적으로만 사용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이야기       토마스 켄의 .. 2024. 8. 2.